사주명리(Four Pillars of Destiny)

음양(陰陽)과 오행(五行)

안빈낙도K 2025. 6. 13. 12:00
728x90
반응형

음양(陰陽)과 오행(五行)

 

1. 음양(陰陽)

음양은 태초에 태극(太極)이 발전하고 분화하는 과정에서 만물의 생성 변화의 원리로 2개의

()를 뜻한다. 원래의 뜻은 햇빛과 그늘을 의미하였지만 음양은 서로 대립(對立)하고 의

(依存)하면서 사물을 만들고 성립시키는 생성과 존립의 원리, 서로 순환하고 전화(轉化) 는 변화의 원리라는 두 개의 원리로서 작용하여 왔다.

서로 상반된 개념이지만 음과 양은 따로 존재하면 의미가 없고 함께 존재해야 그 가치가 있

는 것이다. 명리학에서는 음양의 조화(調和)와 변화(變化)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1) 음양의 특성(特性)

() 나무 여름 덥다 밝다 남자 오전 서양 적색
() 겨울 춥다 어둡다 여자 오후 동양 흑색
() 넓다 하늘 () () () () () 1
() 아래 좁다 가을 () () () () () 0
() 외향적 적극적 () 충동적 능동적 감각형 실천적 진보 크다
() 내향적 소극적 () 사고적 수동적 직관형 계획적 보수 작다

 

 

2. 오행(五行)

오행은 사주팔자의 기초를 이루는 요소로써 오()는 목()-()-()-()-()

의 다섯 가지 원기(元氣)를 가리키며, ()은 순환(循環)이란 의미를 나타낸다.

오행은 말 그대로 5가지 성분이 끊임없이 생(), (), (), ()의 상호작용(相互

作用)을 하면서 돌아다닌다고 할 수 있다. 음양과 마찬가지로 五行역시 무엇보다도 상호간

의 조화(調和)와 변화가 중요하다.

 

1) 오행의 성격(性格)과 속성(屬性)

() : 굵고 곧은 것, 뻗어 나가려는 의지, 성장, 명예 () : 착하고 어질다.

() : 솟는 열정, 정열, 표현, 적극적인 자신감 () : 예의있고 적극적이다.

() : 만물을 중재하고 포용과 중용, 고집, 안식 () : 믿음직하고 끈기있다.

() : 정의감, 내면의 강한의지, 절제, 냉정, 명예 () : 의리와 절제력이 있다.

() : 임기응변, 깊은 생각, 지혜, 욕망, 본능, 배려 () : 총명하고 지혜롭다.

 

2) 오행의 상징(象徵)과 분류(分類)

분류(分類) () () () () ()
계절(季節) () 여름() 환절기() 가을() 겨울()
시간(時間) 아침() () 사이() 저녁() ()
방향(方向) () () 중앙() (西) ()
색상(色相)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
()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숫자() 3, 8 2, 7 5, 10 4, 9 1, 6
오음(五音) ,
(:牙音)
, , ,
(:舌音)
, ,
(:脣音)
, ,
(:齒音)
,
(:喉音)
온도(溫度) 따뜻함(:) 뜨거움(:) 변화함(:)
(:,:)
서늘함(:) 차가움(:)
오장(五臟) () 심장(心臟) 비장(脾臟) () 신장(腎臟)
육부(六腑) () 소장(小腸) ()
삼초(三焦)
대장(大腸) 방광(膀胱)
육신(六神) 청룡(靑龍) 주작(朱雀) 구진.등사
(句陳.)
백호(白虎) 현무(玄武)
사대문
(四大門)
흥인지문
(興仁之門)
숭례문
(崇禮門)
보신각
(普信閣)
돈의문
(敦義門)
숙정문.홍지문
肅靖門.弘智門
천간(天干) , , , , ,
지지(地支) , , ., . , ,
사상(四象) 소음(少陰)
陰中之陽
태양(太陽)
陽中之陽
노소(老少)
冲氣凝結
소양(少陽)
陽中之陰
태음(太陰)
陰中之陰
순환(循環) () () () () ()
오곡(五穀) 보리(:) 기장(:) (:) (:) (:)
직업(職業) 교육, 건축
섬유, 출판
방송, 화학
예술, 전기
부동산, 농업
종교, 변호
, 금융, 운동
군인, 철강
유통, 무역
수산, 음악

 

 

3)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사주명리학은 음양오행의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원리에서 출발한다. ()은 도와준다는

뜻이며, ()은 억누른다는 뜻이다. ()는 적절하게 통제하는 것이고, ()는 변화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양오행의 기본적인 생극작용(生剋作用)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오행의 상생(相生) : 오행은 상호 생()하면서 순환한다. 나무는 불을, 불은 흙을, 흙은

쇠나 바위를, 쇠나 바위는 물을, 물은 다시 나무를 생한다.

. 목생화(木生火) : 나무는 자신을 태워 불을 살린다.

. 화생토(火生土) : 불이 다 타면 재가 되어 흙으로 돌아간다.

. 토생금(土生金) : 흙 속에서 바위와 금속이 나온다.

. 금생수(金生水) : 바위 속에서 물이 나온다.

. 수생목(水生木) : 물은 나무를 자라게 한다.

 

오행의 상극(相剋) : 오행은 상호 극()하면서 순환한다. 나무는 흙을, 흙은 물을, 물은

불을, 불은 금속을, 금속은 나무를 다시 극한다.

. 목극토(木剋土) : 나무는 뿌리로 흙을 붙잡아준다.

. 토극수(土剋水) : 흙은 둑이 되어 물을 가둔다.

. 수극화(水剋火) : 물은 불을 꺼뜨린다.

. 화극금(火剋金) : 불은 쇠를 녹인다.

. 금극목(金剋木) : 쇠는 나무를 자른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오행의 生剋作用에서 상생은 좋고 상극은 나쁘다고 생각하면 안 되고, 적절하게 조절해주는 것이 긍정적이며, 일방적인 상생과 일방적인 상극은 좋지 않다.

 

상생의 반작용(反作用) : ()이 지나치면 오히려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목다화멸(木多火滅) : 나무가 너무 많으면 불이 꺼진다.

. 화다토조(火多土燥) : 불이 너무 강하면 흙이 메마른다.

. 토다금매(土多金埋) : 흙이 너무 많으면 금이 묻혀버린다.

. 금다수탁(金多水濁) : 쇠가 너무 많으면 물이 흐려진다.

. 수다목부(水多木浮) : 물이 너무 많으면 나무가 썩어 물위에 뜬다.

 

상극의 반작용 : ()을 받는 오행이 너무 강하면 극하는 오행이 힘을 잃는다.

. 토다목절(土多木折) : 흙이 너무 많으면 나무가 흙에 꺾여버린다.

. 수다토류(水多土流) : 물이 너무 많으면 흙이 떠내려간다.

. 화다수패(火多水敗) : 불이 너무 강하면 오히려 물이 패한다.

. 금다화멸(金多火滅) : 쇠가 너무 크면 불이 녹이지 못하고 꺼져버린다.

. 목다금결(木多金缺) : 나무가 너무 많으면 쇠가 부러진다.

 

오행의 비화(比和)란 오행이 비슷하다는 것으로 양목(陽木)에 대해서 음목(陰木)은 비화가 된다. ()란 비견(比肩)을 말하는 것이고 화()란 서로 화합한다는 뜻이다. 이것은 일간에 대해서 비화가 되는 것도 있고 다른 오행에 대해서 비화가 되는 것도 있다.

 

炅潾哲學院  朴晳顯()

 

nj Park  [ 안빈낙도K ]

 

 

 

728x90
반응형

'사주명리(Four Pillars of Desti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년(閏年)과 윤월(閏月)  (1) 2025.06.18
천간(天干)  (11) 2025.06.15
역학(易學)의 종류  (2) 2025.06.09
명리학(命理學)의 기원과 발전  (2) 2025.06.08
명리학(命理學)의 개념  (0) 2025.06.08